기독교 세계관과 성경(1)

작성자 외마
작성일 17-09-03 18:39 | 조회 688 | 댓글 0

본문

1.세계관(世界觀)이란 무엇인가?

 

'세계관'이란 세계를 해석하고 이해하는 통찰, 또는 시각()을 뜻한다. 사람은 누구나 이러한 세계관의 통찰에 따라 자신의 삶의 태도와 삶의 방식을 결정하며 살아가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세계관은 기본적으로 삶의 경험을 통하여 자기 나름대로 세상을 보는 눈을 터득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세계관은 근본적으로 종교의 역할이기도 하다. 종교는 인간이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며, 어떻게 살아야 할 존재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가치체계를 제시해 준다.

세계관이란 다른 말로 하면, 인간관(人間觀) 또는 가치관(價値觀)을 뜻하기도 한다. 종교적으로는 이것을 우리는 신앙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하나님의 세계를 이해하는 믿음의 눈을 의미한다. 그리스도인들은 이러한 믿음의 눈 즉, 신앙을 따라 살아가는 것이다. 기독교 세계관은 곧 그리스도인의 신앙관이며, 세상을 보는 눈이며, 가치체계이며, 이러한 가치관에 따라 삶의 방식과 태도가 결정되는 것이다.

 

2. 기독교 세계관(基督敎 世界觀)과 교육의 관계

 

기독교 세계관이란 그리스도 중심적인 세계를 뜻한다. 즉 하나님의 창조세계를 믿음의 눈으로 이해하고, 바라보며, 그 세계 안에서 하나님의 뜻을 따라 살아가는 삶의 양식이요, 태도가 되는 것이다.

 

그러면 기독교 세계관은 인간을 교육하는 일과 그것을 책임진 교사와는 어떤 관계에 있는가?

 

1)기독교 세계관은 기독교 교육(신앙교육)의 기본구조이다.

즉 교육의 목적, 목표, 교육내용이 전부 이 세계관에 기초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역시 다음 세대를 가르쳐야 할 교육의 기본적인 틀과 내용을 결정해 주는 기독교 교육철학의 근본구조와 체계라고 할 것이다. 이것은 동시에 그리스도인들이 믿어야 할 신앙의 기본적인 내용이며, 성경계시의 기본적인 내용을 의미하기도 한다. 즉 우리의 성장세대는 이러한 기독교적인 세계관에 근거하여 인간이란 어떤 존재이며, 존재의 목적과 어떻게 사는 것이 올바른 인간의 삶인지에 대한 그 기본적인 가치를 습득하게 해야 한다.

 

2)세계관과 성경, 그리고 성경해석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

기독교 세계관과 자녀의 신앙교육은 서로 깊이 연관되어 있다. 우리의 자녀들은 이러한 세계관을 배워야 하며, 이러한 세계관을 갖도록 깨우치는 일에 교사의 역할이 요구된다. 우리의 성경을 가르치는 이유와 목적이 여기에 있다. 그리고 우리의 성장세대들이 성경을 배워야 하는 의의도 실제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그런데 교육적으로 중요한 것은 기독교 세계관에 대한 교사의 입장이다. 기독교 세계관은 이제 교사의 신앙관(信仰觀)이 되어야 한다. 즉 성경을 가르치는 교사는 어떤 세계관(신앙관)을 가지고 성경을 가르치고 있는지가 중요한 물음이 된다. 왜냐하면 결국 교사의 세계관(신앙관, 또는 신념)이 학생들에게 그대로 반영되고 심겨지기 때문이다. 교사의 역할은 성장세대에게 이러한 세계관을 익혀주고, 심어주는 역할자로서 의의가 있다.

 

여기서 중요한 물음은, 교사가 어떤 세계관을 가지고 있는가? 즉 어떤 신앙관을 가지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왜냐하면 아이들은 교사의 세계관을 통하여 하나님의 세계를 배우며, 익혀가기 때문이며 교사의 인생관과 가치관과 세계관이 그대로 전수되기 때문이다.

 

3)기독교 세계관과 다른 세계관과의 관계

종교들의 세계관 /불교의 윤회설/ 서구의 인본주의적 세계관/ 맑시즘의 세계관/진화론적인 세계관의 문제/복음과 이데올로기의 문제

 

3. 기독교세계관(基督敎 世界觀)의 기본적인 내용

 

1)하나님의 계시사상(啓示思想)과 성경말씀

 

(1)자연계시와 초자연계시/일반계시와 특별계시로 구분하여 이해한다.

 

(2)계시의 교육적 성격

계시(啓示)는 그 자체가 인간을 교육(敎育)하는 본질적인 주체(主體)이며, 기능(技能)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자연계시에 따라 이루어지는 교육이 일반교육이다. 그러나 일반계시적 차원의 교육은 한계를 가진다. 즉 하나님을 알게 하거나 예수 그리스도로 오신 하나님을 만나게 하지 못한다. 그리고 기독교 외의 다른 여러 종교적인 교육도 이러한 범주에 속한다고 하겠다. 한편 특별계시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교육은 바로 하나님의 말씀에 의한 교육으로서 기독교 교육을 뜻한다.

 

(3)하나님의 계시와 말씀과의 관계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초자연적 사건의 계시의 기록이며, 하나님의 말씀인 것이다. 그리고 인간에게 하나님의 뜻을 알게 해 주는 인간교육의 책인 것이다.

 

<딤후3,15-17의 중요성>

또 네가 어려서부터 성경을 알았나니 성경은 능히 너로 하여금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에 이르는 지혜가 있게 하느니라. 모든 성경은 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것으로 교훈과 책망과 바르게 함과 의로 교육하기에 유익하니 이는 하나님의 사람으로 온전케 하며 모든 선한 일을 행하기에 온전케 하려 함이니라

 

 

 

(4)계시활동의 주체적인 역할자는 성령이시다.

 

2)하나님의 창조사상

 

1)창조와 인간

하나님은 말씀으로 천지를 창조하셨으며, 그 가운데 인간을 창조하시고, 그들이 우주만물의 중심지인 지구촌에서 살게 하셨다. 그리고 이 우주만물을 하나님이 창조하셨음으로 그는 만물의 주인이시다. 또한 하나님은 그의 피조물을 사랑하시며 보호하시며 보존하게 하신다.

하나님의 창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간을 만드신 일이다. 특히 인간을 만드시되 그의 형상(形象)대로 만드시고 만물의 영장이 되게 하셨다. 그리고 하나님을 대신하여 이 땅에 있는 모든 만물을 관리하고, 다스리며, 정복하고(가꾸고) 그 안에서 인간이 생육하며, 번식하고, 충만하게 살도록 하셨다(1:26-29). 이것이 인간에게 허용된 하나님의 축복이다.

 

a.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인간이란?

인간을 인격적(人格的)인 존재(存在)로 만드신 것을 의미한다.

 

b.하나님의 창조란 무엇을 뜻하는가?

하나님의 창조는 우주 만물 속에 질서와 법칙을 주셨음을 의미하며, 인격적인 존재로서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제도형성의 원리를 주셨음을 의미한다.

 

c.창조세계에 부여하신 기본적인 사회적 질서 3가지?

첫째, 성의 질서(가정) - 일부일처/일부다처/일처다부 제도

둘째, 소유의 질서(경제)-자본주의/맑시즘

셋째, 통치의 질서(군주주의/독재주의/ 자유민주주의)

 

2)인간의 타락과 죄 문제

타락이란 무엇인가?

(1)하나님의 형상의 깨어짐

(2)하나님과의 관계의 단절

(3)창조질서의 관계에서 이탈-疏外 - 비인간성/비인격성/인간의 비애

(4)창조주의 뜻을 따르는 능력(중심적 자질의) 상실/자기중심적인 삶

교육적으로는 인간의 타락을 어떻게 이해하는지에 따라 교육의 방향이 결정된다.

 

* 비관주의와 낙관주의의 대립

기독교적인 인간관은 성선설도, 성악설도 아니다. 그러나 인간의 죄성은 숨길 수 없으며, 이러한 딜렘마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극복되어야 한다. 그리스도 안에서 새로 지음 받아야 하는 인간관이다.

 

3)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사상

하나님의 창조는 천지 창조에서 종결된 것이 아니라 역사적인 과정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인간의 타락은 하나님의 창조의 역사적 진행을 중단하거나 파멸하게 된 것이 아니라, 창조의 목적을 향하여 진행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인간적인 운명의 총체적인 표현으로 보며, 죄와 타락 그리고 소외는 목적 지향에 나타난 진행의 과오, 또는 인간의 원동력의 통합의 지연(지체함)으로 본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