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 과 헌금과 십일조

작성자 외마
작성일 17-08-18 11:34 | 조회 234 | 댓글 0

본문

 

내가 기둥으로 세운 이 돌이 하나님의 집이 될 것이요 하나님께서 내게 주신 모든 것에서 십분의 일을 내가 반드시 하나님께 드리겠나이다 하였더라(창세기 28:22)

 

각각 그 마음에 정한 대로 할 것이요 인색함이나 억지로 하지 말지니 하나님은 즐겨 내는 자를 사랑하시느니라(고린도 후서 9:7)

 

청지기 정신

먼저 이해하고 넘어가야 할 것은 우리는 이 세상을 사는 동안 하나님 존전에서 살아가는 코람데오(Coram Deo)’라는 삶의 측면에서 볼 때 우리는 청지기로써의 삶을 살아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성경은 구/신약을 망라해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자들이 '청지기'라는 정신과 자세로 살아야 함을 가르칩니다. '청지기 정신'은 모든 만물을 하나님께서 창조하셨고, 하나님이 주인이라는 것이며, 우리는 만물을 하나님으로부터 맡아서 관리하는 자 임으로, 관리자로서 주인 되신 하나님의 뜻대로 관리하고 빌려 사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럼으로 그리스도인이 소유한 재물, 재산, 자원, 시간, 건강, 관계 등 "모든 것"은 원래 하나님의 것을 개인 및 공동체에 맡기신 것으로 하나님의 뜻에 맡게 사용되어져야 합니다. 그리스도인은 "무소유자"로 부름 받은 것이 아니라 경제적 개념을 가진 "청지기"로 부름 받은 자입니다. 재정 소유와 사용, 헌금 생활 또한 교회의 헌금 관리와 사용도 이 '청지기' 정신에 부합되어야 합니다.

 

1. 십일조의 기원

 

십일조란 수입의 십분지 일을 하나님께 바친다는 뜻에서 히브리어 마아셀이란 어휘에서 기원되었습니다. 이를 신약 헬라어에서는 데카테에라고 번역하였고, 영어에서는타이쓰(Tithe)”라고 번역하였습니다. 주로 이 십일조 연보는 성직자들의 생활비와 교회 유지비에 충당되었으며 구약 시대에는 의무적으로 십일조를 하게 함으로써 일종의 성전세, 종교세의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마치 지금도 영국이나 일부 구라파에서는 교구세또는 종교세로 수입의 십분지 일을 징수하는 것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제물의 의미

구약에서 제사 때 드린 제물, 헌물, 십일조 등은 2가지 측면에서 그 의미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하나는 신앙행위의 표현이라는 것과 다른 하나는 신앙공동체 유지라는 측면입니다.

 

성경에서 제사의 제물은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었습니다. 제사를 통해 하나님께 감사하고, 용서를 구하고, 하나님과 공동체와의 교제를 나누었습니다. 제물은 단순히 물질을 바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 전체를 헌신하는 의미였으며, 이를 통해 하나님의 뜻을 개인의 삶 속에 온전히 구현한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또 제물은 공동체 구성원 상호간의 올바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었습니다. 드려진 제물을 서로 나누어먹고, 자기의 죄를 고백하고, 행동의 변화를 결심하는 것 등을 통해 공동체의 공평, 정의, 평화, 자유 등이 회복되는 것입니다.

 

그럼으로 구약 선지자들의 비판은 제사가 제대로 시행되지 않는 것, 특히 제물이 드려지고 사용되는 것이 왜곡 된 것에 대해 신랄하게 비판하였습니다.(5:21~23, 1:11~14, 6:6~9) , 선지자들은 권력자, 부자, 지도자들이 공평과 정의, 사랑과 은혜의 하나님 나라의 정신을 외면한 채 풍부한 제물을 드림으로 구원을 보장 받으려는 행위를 비판합니다. 제사장들은 이를 묵인하고, 조장하고 이용하여 불의한 제물을 드리는 악한 지도자들이 종교적 허용을 통해 더욱 악행을 하게 했습니다.

 

예수님은 자신은 "어린 양"(1:29)으로 진정한 제물이며, 만인을 위한 "대속제물"(10:45)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자신을 주심으로 단절되어 버린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시키시고, 공동체를 회복시킴으로 구원을 주시는 진정한 제물이 되신 것입니다.

 

온전한 십일조

십일조가 언급된 성경본문은 구약 13, 신약4입니다. 구약의 십일조 관련 본문은 3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율법이전 시대" 2부분(14:1820, 28:2022) "광야시대" 5부분(27:3033, 18:2132, 12:619, 14:2229, 26:1215), "광야 이후 시대" 6부분(삼상 8:1517, 대하 31:219, 4:4, 10:3739, 13:514, 3:712)입니다. 신약은 복음서에 3부분(23:33, 11:42, 18:12), 히브리서에 1(7:110)입니다.

 

구약의 십일조

14:1820은 아브라함이 전쟁에서 얻은 소득의 십일조를 하나님의 제사장인 살렘 왕 멜기세덱에게 바친 것입니다. 이 십일조의 특징은 자원해서 드렸다는 것과 적은 군사로 많은 적을 이기게 하신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감사의 예물이며, 하나님의 절대주권을 인정하는 신앙고백의 헌물이라는 것입니다. 28:2022의 십일조는 야곱이 하나님께 서원하며 바치겠다는 약속으로 이후 시행여부는 기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27:3033은 십일조는 하나님의 것이라는 선언이고, 18:2132의 십일조는 하나님의 소유로 선택되어 생산수단이 없는 레위인에게 주고, 이 십일조의 십일조는 아론에게 주라고 합니다. 12:619의 십일조는 자녀와 노비와 레위인과 함께 먹으라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