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8 과 희년(禧年) (2)

작성자 외마
작성일 17-09-02 07:27 | 조회 418 | 댓글 0

본문

회복

희년에는 모든 것이 회복됩니다. 희년의 본문인 레위기25장의 내용을 요약한다면 바로 희년에 노예가 자유 함을 얻게 되고, 잃었던 땅을 다시 되찾게 된다는 것입니다. 줄여서 말하자면 희년은 "땅과 노예의 회복"(land and slave redemption)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희년을 히브리어로 '요벨'(יובל)이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이 단어는 숫양(ram)을 가리킨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이 숫양의 뿔로 나팔을 만들어서 사용했는데, 희년은 나팔을 불면서(25:9) 선포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희년의 중요한 두 가지 주제

고대의 백성들에게는 원래 분배받은 땅이 있었으나 기후나 경제적인 여건으로 인하여 파산되어 땅이 남의 소유가 되고, 자신들도 노예로 팔려가는 경우가 있었는데, 바로 이러한 어려움들이 희년을 통해서 회복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희년의 중요한 두 주제는 바로 땅과 사람입니다.

 

땅의 회복

가나안은 땅에 대한 개념이 도시지배자(city-state king)나 영주(nobles)들의 소유이며 나머지 사람들은 다 소작인인데 반해, 이스라엘은 종족(clan)이나 가계(household)에 따라서 공평하게 땅을 분배받았습니다. 그러나 약자들은 교활한 이들에 의해 땅을 잃게 되거나, 빚으로 빼앗기고, 외지생활을 하게 되는 경우가 생기게 되는데 희년이 되면 모든 땅이 원래의 소유자에게로 돌아가게 되어있습니다. 즉 처음 토지를 분배받았던 가문에게로 돌려주는 것입니다. 이것의 가장 큰 근거는 바로 "모든 땅은 바로 하나님의 것"(25:23)이라는 개념입니다. 이스라엘백성들이 초기에 정착할 때 제비를 뽑아 공평하게 땅을 나누었고, 그것이 가문대대로 물려졌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땅은 결코 사고 팔 수 없는 것이며 남에게 양도(alienation)될 수 없는 것이었습니다(왕상21장의 나봇의 포도원). 결국 파산하여, 또한 빼앗겨서 이런 법칙이 어겨진다 할지라도, 희년이 되면 다시 원래의 자리대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희년은 원래 땅 분배의 모습대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인간(가족)의 회복

고대근동(ANE)뿐 아니라 이스라엘에는 빚을 못 갚아서 종이 되는 채무로 인한 노예상태(Debt-Slavery)라는 사회적 현상이 있었습니다. 이것은 한 사람이 파산하여 빚을 갚지 못하게 되면 그의 땅이 채권자에게 몰수되고 자신은 종이 되는 것을 말합니다(왕하4). 당시의 삶의 모습이 다양했기에 이런 파산이 많았고 심각한 사회문제까지 야기되었습니다. 이렇게 종이 된 사람을 키르키그노(George C. Chirichigno)는 채무노예(debt-slave)라고 불렀습니다. 고대근동의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노예를 말할 때는 다음의 두 가지 종류의 경우를 말합니다. 하나는 자산적 소유노예(Chattel-slave)요 다른 하나는 바로 채무노예(Debt-slave)를 말하는데, 전자는 완전한 재산으로서의 노예를 말하며 사고 팔 수 있는 반면에, 후자는 빚을 못 갚아서 된 노예를 말합니다. 바로 후자가 성경(특히 희년규정이나 출21, 신명기15장등)에서 말하는 노예입니다. 주인은 이들을 전자(Chattel-slave)처럼 사고 팔수 없었고 이웃처럼 존중해주어야 했습니다. 또한 레25:23"...너희는 나그네(permanent migrants), 우거하는 자(temporary migrants)로서...."에서 '나그네''우거하는 자'라는 말도 사실은 파산하여 남의 땅에서 힘들게 사는 이들을 말하는 것입니다. 바로 이런 처지의 사람들이 다시 회복되는 기회가 희년이 되는 것입니다. 다시 회복되어 그들의 가문으로 돌아갈 수 있는 때가 바로 희년입니다. 그러므로 이스라엘인들은 결코 노예(slave)가 될 수 없는 것입니다. 이스라엘인들은 단지 고용인(hireling)이 될 뿐입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하나님의 종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희년 말씀에 담긴 하나님의 뜻은 모든 사람에게 토지와 노동의 권리를 보장하여 땀 흘려 열심히 일해서 만든 자기 노동의 열매를 누리게 하라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희년 말씀에서는 빈곤의 심화 단계에 따른 규례들이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가난하게 되어 토지를 팔게 된 경우(25:25~28), 집을 팔게 된 경우(25:29~34), 이스라엘 형제가 가난하여 함께 머물게 된 경우(25:35~38), 형제가 품꾼이 된 경우(25:39~46), 이스라엘 형제가 이방인의 품꾼이 된 경우(25:47~55)에 따른 규례들이 있습니다.

 

 

 

생각하고 이야기해 보기

 

1) 레위기 25장의 내용을 요약한다면 무엇이라 할 수 있습니까?

 

2) 희년의 중요한 두 가지 주제에 대해 설명해 보세요?

 

3) 고대근동의 상황에서 말하는 노예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습니까?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