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7 과 안식과 휴식(2)

작성자 외마
작성일 17-09-02 07:19 | 조회 373 | 댓글 0

본문

, 안식 누리는 주일

 

한국교회 성도들의 열정적인 신앙을 상징하는 전통 중 하나는 주일성수입니다. 과거 보수 교회들은 주일에 일체의 노동이나 물건 매매, 오락을 금했고 주일성수 여부를 신앙의 척도로 삼기도 했었습니다. 지금도 크게 달라지진 않아서, 하루 종일 교회 봉사를 하는 것을 성도의 미덕으로 여기고 있는 것이 주지의 사실입니다.

한국교회의 주일이 유대교의 율법적인 안식일처럼 종교의례적인 날로 변질됐다고 지적하는 신학자들이 많습니다. 하나님을 향한 감사와 기쁨의 날이 아니라 의무적으로 지켜야 하는 날이 되어 예배와 봉사에만 초점을 두고 있다는 것입니다.

 

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의 조석민 교수는 교회가 주일날 왜 모여야 하는지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물으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게 예배다. 예배의 본질은 말씀을 삶으로 살아내는 것인데, 그저 주일날 예배 한 번 드리면 끝나는 숙제로 알고 의식적인 규례로 여기는 게 문제라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건신대학원대학교의 배덕만 교수는 안식일은 분명히 쉬는 날인데 교회가 처한 안식일은 가장 노동이 많은 날이다. 교인들은 6일 간 세상에서 일하고 주일엔 교회 와서 종일 노력 봉사를 해야 한다. 안식일이 아니라 종교일을 하는 또 다른 날이 돼버렸다고 지적하고있습니다.

 

한국교회 다수를 차지하는 장로교는 영국의 청교도 선교사들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청교도는 십계명의 안식일로서 일요일을 엄수했지만 구약의 안식일 규정까지 주일에 지키려고 했습니다. 그래서 주일휴식을 법적으로 규정했고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에 엄격한 안식일 규정을 삽입했던 것입니다. 주일 규정을 어기면 식량을 잃고 채찍을 맞으며 죽임을 당했습니다. 신학자들은 오늘날 한국교회가 청교도적 주일사상 아래, 안식일과 주일을 혼용하면서 정작 성경이 말하는 안식의 가치는 망각해 버렸다고 설명합니다.

기독연구원 느헤미야의 원장인 김형원 목사는 중세처럼 교회가 파워로 사람을 컨트롤 하려고 하면서 주일이 안식일화 돼버렸다. 세속주의 흐름 속에서 교인 단속을 하기 위함인데, 여러 가지 규정을 만들다 보니 종교가 율법주의화 돼버린 거다. 율법주의화 되면서 하나님 안에서의 쉼, 누림이란 본래 정신은 없어졌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최근 일각에서는 이처럼 율법주의화 돼 버린 주일성수를 강화하고 저녁예배를 부활시키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많은 신학자들과 목사님들은 이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김형원 목사는 주일성수, 저녁예배 강조로 교인들을 율법주의로 얽매여야 교인들이 덜 세속적이 될 거라는 생각은 시대착오적 발상이다. 한국교회가 욕을 먹는 이유, 교인들이 교회를 떠나는 이유는 주일성수, 저녁예배를 안해서가 아니라 성경의 정신을 놓쳤기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진정한 주일의 회복을 위해 율법적인 규례는 폐기하되, 성경에 나타난 안식의 본래 의미는 되살려야 하는 것이 진정한 성경의 말씀(Sola Scriptura)에 충실한 모습일 것입니다.

 

사례 12) 안신일을 기억하여 거룩하게 지키라

신약 교회가 4계명을 예배의 관점에서 보기 시작하였다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을 제대로 이해했기 때문이다. 사실, 구약 시대에 있어서 4계명의 핵심은 예배가 아니라 "일의 멈춤"이었다. 왜냐하면 구약시대에 있어서 예배란 제사였고, 제사란 비록 예외가 있기는 하지만 예루살렘 성전에서 드려져야 했기 때문이다. 우리가 구약의 "일의 멈춤"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은 예배의 중요성을 소홀히 할 가능성이 많다. 만약 우리가 주일날 무엇을 하는 것을 문제 삼는다면, 그와 동일하게 주일날 예배에 참석하지 않는 것을 훨씬 더 심각하게 생각하여야 할 것이다.

 

누군가 "십계명이 어디에 있는가?"라는 목사님의 질문에 "찬송가 뒤에 있는데요"라고 답을 한 적이 있었다. 십계명은 출애굽기 20장과 신명기 5장에 기록되어 있다. 출애굽기는 출애굽 1세대에게, 신명기는 2세대에게 하신 말씀이다. 두개를 비교해 보면 유독 4계명만 내용이 많이 다름을 금방 알 수 있을 것이다. 출애굽기가 안식일을 지켜야 할 이유를, 창조의 관점에서 설명함에 비해서, 신명기는 구속을 강조하고 있다. , 안식일은 하나님의 창조와 구속을 기념하는 날이다. 문제는 하나님의 창조와 구속을 어떻게 우리가 기념할 것인가이다. 그것은 우리가 우리의 일상적인 일을 그침으로 기념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 우리가 무엇을 행함으로 하나님의 창조와 구속을 기념하는 것이 아니라 아무 일도 하지 않음으로 그것들을 기념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바로 은혜가 무엇인지를 그대로 보여준다. 우리가 구원을 얻는 것은 행함이 아니라 오직 은혜로 얻는다는 것을 우리는 "아무것도 행하지 않음으로" 드러내야 하는 것이다. 창조 시에 하나님께서 다 하셨기 때문에, 그리고 구속에 있어서도 하나님께서 다 하셨기 때문에 우리가 그 날에 무엇을 행한다는 것은 하나님의 창조와 구속을 부정하는 것이 된다. 안식일이 창조와 구속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에 안식일의 정신은 오늘날도 여전히 유효하다.

 

구약의 안식일을 지키는 내용 중 눈에 뛰는 것은 "네 문안에 유하는 동물, 종과 객"도 쉬게 하라는 구절이다. 오늘날에는 종이라는 제도가 없기 때문에, 농업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이 말씀을 무시해야 할 것인가? 이렇게 생각해 보자. 우리가 주일날 식구들과 밖에서 외식을 한다고 생각해 보자. 우리는 아주 즐겁게 좋은 시간을 가지게 될지 모르나 그 식당 종업원들은 우리 가족의 즐거움을 위해 주일날 노동을 해야 할 것이다. 물론 그들이 돈을 버는 것은 사실이고 우리가 가지 않는다고 해서 그들이 쉬는 것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기독교인들은 주일날 상업적인 활동을 금함으로 주께서 원하시는 안식이 우리뿐만이 아니라 불신자에게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주일날이 안식일 보다 우월한 이유에 대해서. 날짜 계산을 해 보면, 주일이 삼위 하나님의 사역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주일은 성부 하나님께서 창조를 시작하신 날, 예수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심으로 구속을 완성하신 날, 성령 하나님께서 예루살렘 교회 임하여 교회를 충만케 하신 날이다(오순절이 안식일이 아니라 주일과 일치하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주일에 있어서 성령의 사역이 지금 보다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주일은 "임마누엘" 즉 삼위 하나님께서 우리와 함께 하시는 날이다. 이 날을 어떻게 지켜야 할 것인가? 점점 세속화되어가는 세상 문화에 맞서 우리가 풀어야 할 중요한 숙제가 아닐 수 없다.

[참고] https://ko-kr.facebook.com/jubilee256104/posts/489753984390048

 

 

 

사례 13) 번 아웃 증후군(Burn-out Syndrome)

'번아웃 증후군'은 한 가지 일에 몰두하다 극도의 정신적인 피로감, 심각한 무기력증과 자기혐오 등에 시달리는 증상이다. 연탄이 다 타버려 하얗게 되듯이, 사람도 일을 너무 하다보면 다 타버려(burn out) 정신적인 탈진상태에 빠집니다. 일할 의욕을 상실하고, 슬럼프에 빠지고, 무기력해지고 ,극도의 피로감을 느낍니다.

 

번아웃 증후군은 미국의 정신분석학자 H.프뤼덴버그가 자신이 치료하던 환자에게서 처음 발견하였습니다. 아주 사소하게 생각할 수 있지만, 방치할 경우 목숨까지 잃게 합니다. 우울증으로 발전하거나 과로사하기도 합니다.

 

서울에 있는 한 초등학교의 학급 학생들을 조사한 결과 23명 중 3명이 번아웃 증후군 환자에 버금가는 스트레스 수치를 보였고, 23명 중 14명이 직장 경력 16년 정도의 스트레스를 지닌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20대 초반의 대학생 21명 중 16명이 번아웃 증후군이거나 위험군에 속한 것으로 나타나 어린 나이부터 축적된 스트레스가 해소되지 않고 더욱 심화된다는 것을 반증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일반 직장인들의 70% 이상이 번아웃 증후군에 시달린다."고 말하며 현재 '피로 사회'를 겪고 있는 대한민국의 실태를 진단했다.

 

 

 

생각하고 이야기해 보기

 

1) 로전츠바이크(Fr. Rosenzweig)는 안식일을 무엇이라고 표현하였습니까?

 

2) 안식일 계명의 두 가지 동기에 대해 설명해 보세요.

 

3) 안식일의 생태학적 의미는 무엇입니까?

 

4) 온전한 주일성수란 무엇인지에 대해 의견을 나누어 보세요.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